오블완2 트리쉐이킹이란? 코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나무(tree)를 흔들어(dead branches) 불필요한 가지를 떨궈내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tree에 비유하는 이유 모듈 시스템과 코드베이스는 일반적으로 트리 구조와 비슷하게 구성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위 모듈에서 시작해 하위 모듈로 연결된 의존성 그래프를 생각할 수 있다. 이 트리에는 실제로 사용되는 모듈(가지)과 사용되지 않는 모듈(불필요한 가지)이 모두 포함된다. 'shaking'의 의미 '쉐이킹'은 나무를 흔들어서 쓸모없는 가지를 떨어뜨리는 과정처럼, 코드베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듈이나 코드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드 분석: 번들러가 코드 트리(의존성 그래프)를 탐색하여 각 .. 2024. 11. 8. [Vue] ref와 reactive의 차이점 데이터 타입:ref: 단일 값이나 원시 타입reactive: 객체, 배열 등 복합 데이터 구조데이터 사용법:ref: .value를 통해 접근reactive: 일반 객체처럼 속성에 직접 접근 ref와 reactive 모두 반응형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지만, 다루는 데이터 타입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reactive는 ref와 달리 데이터의 값이 수정되거나 추가될 때 등 반응성을 잃는다는 점에서 주의해야 한다. Vue의 반응형 시스템은 reactive 객체 생성 시점에 존재하는 속성들만 추적하기 때문에, 새로 추가된 속성은 반응형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1. 속성 추가const state = reactive({ count: 0 }); state.newProperty = 5;console.log(s.. 2024. 11. 7. 이전 1 다음